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TTS 라이브러리 MeloTTS로 한국어 음성 합성해보기

  TTS( text-to-speech ) 라이브러리인 MeloTTS를 사용하여 한국어 음성을 합성해봤습니다.  깃허브 주소는   https://github.com/myshell-ai/MeloTTS  입니다. 2024. 7. 14  최초작성 2024. 11. 9  윈도우에서 실행시 python3 대신 python을 사용해야함. 디폴트 설치로는 파이토치가 CPU를 위해 설치됨 2024. 11. 10 cuda 사용하도록 pytorch 설치하여 테스트 진행 2024. 11. 14 Linux와 macOS, Windows에서 가능한 방법입니다.   최종 문서 작성시 테스트는 Windows에서 진행했습니다. 가급적이면 miniconda나 anaconda 환경에서 진행하세요. conda 환경 만드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Visual Studio Code와 Miniconda를 사용한 Python 개발 환경 만들기( Windows, Ubuntu, WSL2) https://ilkemomo.blogspot.com/2025/09/visual-studio-code-miniconda-python.html   다음 명령들을 차례로 실행해줍니다. 위 두 줄은 conda 환경을 사용할 경우에 필요한 명령어입니다. $ conda create -n melotts python=3.10 $ conda activate melotts $ git clone https://github.com/myshell-ai/MeloTTS.git $ cd MeloTTS $ pip install -e . $ python -m unidic download 이제 예제코드를 실행해봅니다. 출처  https://huggingface.co/myshell-ai/MeloTTS-Korean   from  melo.api  import  TTS # Speed is adjustable speed =  1....

Windows에 WSL 및 Ubuntu 설치하는 방법

 Windows 11에 WSL를 설치한 후, Ubuntu를 설치한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2017. 12. 15 최초작성

2021. 05. 19

2021. 08. 01

2022. 11. 25

2023.8.3 Ubuntu 22.04가 설치되며 기본 사용자가 root 입니다.

2023. 8.13 WSL2 완전 삭제 후 다시 진행. 사용자를 지정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024. 1. 9  검토 및 기존 방법 삭제

2024. 3. 11

2025. 4. 30  다시 검토

2025. 8. 17 다시 검토, 바뀐점 반영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은 윈도우에서 리눅스 환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리눅스에서 실행되던 대부분의 커맨드 라인 도구,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을 윈도우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거의 리눅스와 동일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VirtualBox나 VMware 같은 것을 이용해서 가상 머신을 생성하여 실행할 때 발생하는 오버헤드가 적을 듯합니다.

1. Windows 10 버전 2004 이상(빌드 19041 이상) 또는 Windows 11에서 WSL2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추가되었습니다. 새로운 방식을 사용하면 GUI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없습니다.

우선 윈도우 버전을 확인해야 합니다. 윈도우 키 + R을 누른 후, winver를 입력하여 실행합니다.

윈도우 10인 경우 위에서 언급한 2004 이상(빌드 19041 이상)이면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윈도우키를 누른 후, cmd를 입력하여 보이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마우스 우클릭합니다. 보이는 메뉴에서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3. 설치를 진행하기 위해 명령 프롬프트에서 wsl –install 명령을 실행합니다. 기본적으로 설치된 Linux 배포는 Ubuntu입니다. 설치된 배포판을 변경하려면 wsl –install -d <Distribution Name>을 입력합니다. <Distribution Name>을 설치하려는 배포판의 이름으로 바꾸면 됩니다.

wsl --install

아래 로그는 윈도우 업데이트한것 차이로 PC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선 윈도우 업데이트를 모두 완료한 상태에서 한 것입니다.

wsl 설치후 예전과 달리 우분투 설치 진행되다가 다음 에러났습니다. 재부팅해봅니다

설치 중: Ubuntu

필요한 기능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오류 코드: Wsl/InstallDistro/Service/RegisterDistro/CreateVm/HCS/HCS_E_SERVICE_NOT_AVAILABLE

4. 다시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여 확인해보니 리눅스 배포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나옵니다.

wsl -l

설치 가능한 리눅스 배포판을 확인해봅니다.

wsl --list --online

우분투 22.04를 설치해봅니다. 왼쪽에 보이는 이름을 사용하여 다음처럼 설치하면 됩니다.

wsl --install Ubuntu-22.04

우분투에서 사용할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보입니다. 입력해줍니다.

Enter new UNIX username: webnautes

그다음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합니다. 입력한 패스워드는 화면에 출력되지 않으며 패스워드 입력후 엔터 누르고 패스워드 한번 더 입력 후 엔터를 눌러야합니다. 두 번 입력한 패스워드가 일치해야 합니다.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바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5. 다시 실행하는 방법은 시작메뉴에서 ubuntu를 검색하여 찾아진 Ubuntu-22.04를 선택하여 실행합니다.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배포판 정보가 다음처럼 나옵니다.

다르게 실행하는 방법은 명령 프롬프트에서 필요시 wsl 명령을 실행하여 wsl로 바로 넘어갈 수 있고 exit 명령을 실행하여 다시 명령 프롬프트로 돌아 올 수 있네요. 명령 프롬프트 실행시 위치한 경로가 WSL에서의 경로가 됩니다.

6. 이제 윈도우에서 리눅스 명령을 실행해보겠습니다.

다음처럼 실행창에서 bash -c 다음에 원하는 명령을 적거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위와 똑같이 입력하면

잠시 후 다음처럼 vim이 실행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명령 프롬프트에서  리눅스의 홈 디렉토리 목록을 출력한 예입니다.

실행할 명령에 공백이 있는 경우에는 아래 캡쳐화면처럼  “ ” 큰따옴표 안에 적어주면 됩니다.

7. GUI 프로그램 실행을 해보기 위해서 wsl에서 gedit를 설치해봅니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gedit

실행시켜 봅니다.

$ gedit

기존 방식에서 필요했던 Xming X Server for Windows 없어도 바로 GUI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8. 이번엔 리눅스에서 윈도우 프로그램을 실행해보겠습니다.

리눅스에서 윈도우에 설치된 엑셀은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

$ /mnt/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root/Office16/EXCEL.EXE

자주 실행되는 명령은 해당 경로는 PATH 환경변수에 입력하면 편합니다.

다음처럼 한 줄을 홈디렉토리에 있는 .bashrc 파일 끝에 추가해주면됩니다.

export PATH=$PATH:/mnt/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root/Office16/

환경을 적용하고 나면(또는 배쉬 쉘을 다시 실행)

$ source .bashrc

다음처럼 실행파일 이름만 입력해도 실행이 가능해집니다.

$ EXCEL.EXE

윈도우 계정의 파일 목록은 다음과 같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바탕화면은 접근할 수 없도록 바뀐듯합니다.

$ ls -al /mnt/c/Users/webnautes

참고

[1]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 

[2] https://www.pcworld.com/article/3055403/windows/windows-10s-bash-shell-can-run-graphical-linux-applications-with-this-trick.html 

[4] https://jakupsil.tistory.com/36 

[5] https://positivemh.tistory.com/584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Visual Studio Code, MinGW를 사용한 C/C++ 개발환경 만들기-(Windows/Ubuntu)

  Windows와 Ubuntu 환경에 설치된 Visual Studio Code에서 C/C++을 컴파일하고 실행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테스트에 사용한 운영체제 버전은 Windows 11과 Ubuntu 22.04입니다. Visual Studio Code 버전에 따라 진행 방법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 것을 발견할 때마다 문서를 업데이트합니다.   1.  C/C++ 컴파일러 설치 2. Visual Studio Code 설치 3. C/C++ 프로젝트 폴더 생성 4. C/C++ 언어 지원 설치 5. 코드 컴파일 및 실행 6. 디버깅하는 방법 2017.  8. 15   최초 작성 2018.  1.   9    tasks.json 일부 문법 변경으로 수정 2018.  1. 17   IntelliSense와 디버깅 방법 추가 2018.  7.  3   Ubuntu에서 하는 방법과 통합 2018.  7.  19  한글 입출력 예제 추가 2018.  10. 12  최신 버전에서 확인 및 수정 2018.  11. 20  리눅스에서 tasks.json 수정 2018.  12. 3  디버깅 방법 개선 2018. 12.22  Windows 10 RS5(버전 1809)로 업데이트시 한글 깨짐 현상 발생 2019. 5. 1  1.33에서 바뀐점 수정 2019. 5. 21  전역 변수 디버깅 방법 추가 2019. 6. 20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업데이트로 바뀐점 수정 2019. 8. 15  디버깅 관련 수정, mingw-w64에 맞추어 수정 2019. 8. 20  Ubuntu를 위한 부분 업데이트 2019. 10. 22 디버그시 launch.json 생성 문제 해결방법 추가 2019. 11. 17 utf8을 사용...

Visual Studio Code 설치( Windows / Ubuntu / Apple Silicon Macbook )

  Visual Studio Code를 Windows, Ubuntu, Apple Silicon Macbook에 각각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2. Ubuntu에 설치하는 방법 3.  Apple Silicon Macbook 에 설치하는 방법 2018. 7. 2   최초작성 2019. 8. 20 Ubuntu 18.04 확인 2020. 7. 19 Ubuntu 20.04 확인 2021. 3. 4  업데이트 2023. 11. 10 Macbook M1 추가 2024. 3. 23 2025. 7. 20  Apple Silicon Macbook에 설치 방법 수정 Visual Studio Code는 Visual Studio와 달리 코드 편집에 최적화된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습니다. 1. Windows 1. 윈도우의 경우에는 아래 링크에서 Visual Studio Code를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download 글 작성 시점에 User Installer, System Installer, zip 압축파일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System Installer를 설치하는게 좋을 듯합니다. User Installer의 경우 다음 위치에 설치되며 유저 인터페이스의 디폴트 언어가 영어가 됩니다.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Programs\Microsoft VS Code   System Installer의 경우에는 다음 위치에 설치되며 유저 인터페이스의 디폴트 언어가 영어가 됩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S Code 2. Visual Studio Code 설치를 진행합니다. 사용상 편의를 위해 다음  3가지를 체크해준 거 외에는 별다른 옵션 변경 없이 진행했습니다. 2. Ubuntu 1. curl을 설치해줍니다. 이미 설치되어 있다고 메시지가 보일 수도 있습니다. $ sudo apt-get ...

Windows에 CUDA 사용할 수 있도록 PyTorch 설치하는 방법

  Windows 에 CUDA와  PyTorch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2023. 5. 7 최초작성 2023. 9. 9 2024. 1. 7 별도의 CUDA 없이 설치 2024. 3. 16 NVIDIA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설치 방법 분리                   글 업데이트 2025. 1. 27  글 업데이트 2025. 4. 25 NVIDIA 그래픽카드 설치방법 생략 및 글 업데이트 NVIDIA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진행합니다. PyTorch 설치 1.  Miniconda를 설치 후, Visual Studio Code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Visual Studio Code와 Miniconda를 사용한 Python 개발 환경 만들기( Windows, Ubuntu, WSL2) https://ilkemomo.blogspot.com/2025/09/visual-studio-code-miniconda-python.html   2. 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Your OS는 Windows, Package는 파이썬 환경에 따라  Conda 또는 Pip, Language는 Python, Compute Platform은 CUDA 11.8 또는 CUDA 12.6 또는 CUDA 12.8를 선택하면 아래쪽에 명령어가 보입니다. 현재 2025년 4월 25일 기준으로 보이는 선택항목이며 나중에 바뀔 수 있습니다. https://pytorch.org/get-started/locally/   위 링크에 방문시 원하는 CUDA 버전을 선택하여  생성된 명령을 사용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Package 항목은 이젠 pip만 지원합니다. 여기에선 CUDA 12.6을 선택한 경우를 진행합니다.  윈도우 키를 누르고  anaconda를 입력하여 검색된 Anaconda Pr...